한양대 공대 편입 최신 모집요강 경쟁률 2025ver

이공계열을 목표한다면, 한 번쯤은 ‘한양대 공대 편입’을 고민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하지만 정보를 뒤적이다 보면 모집요강은 복잡하고 경쟁률 숫자는 숨 막히죠. 최신 데이터가 뭔지조차 헷갈려서 걸음을 떼기 전에 지쳐버리는 일이 다반사!

한양대 공대 편입

2025학년도 최신 편입 전형 일정·전형 방법·숫자까지 한눈에 정리했습니다.
“언제 원서 내지?”
“시험은 어떻게 준비하지?”
“내 점수로 붙을까?”
모집요강 속 핵심만 쏙쏙 뽑아 편입 전략을 설계해볼까요?


한양대 공대 편입 첫걸음: 전형 일정 & 모집인원

마감일을 놓치면 모든 계획이 허사가 됩니다. 올해 한양대 일반편입·한양대 학사편입 모두 원서접수는 2024년 12월 10일(화) 오전 10시부터 12일(목) 17시까지 단 3일뿐!
필기시험은 2025년 1월 11일(토) 15:30, 합격 발표는 2월 11일(화) 14:00 이후. 등록은 2월 13일(목) 16시까지 끝내야 하고, 추가합격 콜은 2월 20일(목) 18시 이전까지 이어집니다.

매년 비슷하기 때문에 날짜에 익숙해지는게 정말 중요합니다.

단계주요 날짜비고
1단계 원서접수12.10 10:00 ~ 12.12 17:00온라인, 서류 없음
필기시험01.11 15:30인문·간호(야): 영어 / 자연: 영어+수학
2단계 서류01.15 ~ 01.17 17:001단계 합격자만
최종 발표02.11 14:00개별 통지 없음
등록02.11 ~ 02.13 16:00미등록 시 합격 취소

모집인원은 공과대학만 놓고 보면 총 110명 내외(일반 80·학사 20·간호학과 제외). “많지 않은데?”라고 느껴도 포기하긴 이릅니다.


숫자로 읽는 합격 확률: 경쟁률 & 학과별 편차

“무조건 높은데요?”라고 단정 짓기 전에 계열·학과별 편차를 확인해야 합니다. 전체 일반편입 경쟁률이 36.30:1, 학사편입은 32.61:1. 하지만 공대 안에서도 간극은 큽니다.

  • 건축학부 일반편입 26.25:1 / 학사편입 18.00:1
  • 기계공학부 일반편입 42.5:1 / 학사편입 31.0:1
  • 전기·생체공학부 일반편입 38.6:1 / 학사편입 22.4:1

>> 지난 전체 경쟁률 보러가기

  1. 학사편입이 대체로 5~10포인트 낮다.
  2. 모집인원이 1~2명이라도, 지원자는 50명 안팎으로 몰린다.
  3. 결정타는 필기 70% 비중. 한 방 시험 점수가 경쟁률을 상쇄할 ‘역전 카드’가 됩니다.

따라서, “내 평점이 애매해도 필기로 만회하겠다”는 수험생이라면 일반편입·학사편입 모두 응시해두는 편이 유리합니다.

필기냐 서류냐: 점수 배분 전략

공대 계열은 영어(35문항 객관식)와 수학(25문항, 객관식+단답형)을 130분 내에 풀어야 합니다. 과목별 시간 분리는 없으니 실전 연습 시 ‘동시투입’을 체화하세요.

Tip 1. 영어 20% vs. 수학 50%
“영어만 잘 보면 되지 않을까?” Nope! 자연계열은 수학 비중이 2.5배입니다. 공대 편입 준비생이라면 미적·선형대수·공학수학 기본을 다지는 동시에 영어 독해 속도 훈련을 병행해야 합니다.

Tip 2. 서류 30% 활용법
서류평가에서는 ‘학업계획서 + 평점’이 관건. 특히 편입 사유·전공 연계성을 짧고 굵게! 학부 연구실·산학협력 프로젝트 사례를 한두 줄 넣어두면 가점 효과가 컸다는 후기가 많습니다.

학점은행제 활용 꿀팁: 시간·비용 둘 다 잡는다

“전적대 평점이 낮아 일반편입 자격만 간신히 맞췄는데, 서류에서 불리할까요?” 이런 분에게 학점은행제는 숨은 패입니다. 온라인 학점을 추가로 이수해 70학점 이상을 채우면 학사편입으로 올라타기 가능!
지원 자격이 바뀌면서 경쟁률이 내려가고, 서류 점수도 새 학점이 반영돼 훨씬 깔끔해집니다. 오프라인보다 저렴하고, 직장 병행이 가능하다는 점도 매력 포인트. 단, 2025년 1월 17일 17시까지 성적증명 PDF를 업로드해야 하니 학기 계획을 촘촘히 짜두세요.


🎯 결론: 한 발 앞선 준비가 당락을 가른다

정리해볼까요? 한양대 공대 편입모집요강상 필기 70%·서류 30% 구조, 경쟁률 20~40:1 범위.

지금부터 7개월, 영어·수학 실전 문제 → 학업계획서 브러시업 → 성적 관리 루틴을 돌려보세요. “내가 해도 될까?” 망설이는 순간 기회는 흘러갑니다. 여러분의 선택이 내년 2월 최종 등록 명단에 이름을 올릴지 말지 결정짓겠지요. 이 글이 방향키가 되길 응원합니다.


[27년 인서울 편입] 학점은행제 시작하는법

27년 그래봤자 지금부터 1년입니다. 수능 준비를 하더라도 최소1년을 잡습니다.

1)학점은행제로 알차게 준비하는법
2)전문적인컨설팅부터 받고싶다
상세페이지에서 확인하세요!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