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회복지사2급부터 1급 자격증까지 따려면 비용이 얼마나 들까요?”
목표가 너무 멀리 있다고 느껴진다면, 단계를 나눌 필요가 있습니다.
그런데, 뭘 알아야 나누죠?
그래서 오늘 정리할 내용이 꽤 소중하지 않을까 싶어요. 사회복지사2급과 1급 자격증의 차이부터, 앞으로 들어가게 될 전체 비용까지 꼼꼼하게 정리해봤습니다.
기준은 학점은행제!
1. 사회복지사2급과 1급의 차이
사회복지사 급수 | 발급 기준 | 자격 발급 기관 |
---|---|---|
2급 | 학점 이수, 국가시험 없음 | 학점은행제 또는 대학 |
1급 | 2급 소지 후 국가시험 통과 | 보건복지부 / 한국보건의료인국가시험원 |
1급 취득 후, 정신건강·의료·학교 사회복지 등 전문 분야 진출이 가능하지만,
해당 분야에서 경력도 함께 쌓아야 합니다.
❗ 혹시 위 표가 잘 이해되지 않는다면, 유감이지만… 몇 번이라도 다시 읽어보세요. 더 쉽게 설명할 자신은 없습니다 😅
2. 사회복지사2급 비용, 과목별로 나눠보면
“지피지기면 백전백승”
사회복지사 자격증도 마찬가지입니다.
일단 2급부터 시작해야 하며, 학점을 이수해야 하기 때문에 그에 해당하는 수업료가 필요합니다.
- 이론 과목: 과목당 비용 × 수업 개수
- 실습 과목: 1과목, 평균 30~40만 원
💡 이론은 100% 온라인으로도 수강 가능합니다. 대면 수업도 있지만, 개인적으로는 온라인이 더 합리적이라 생각해요.
수강 기준별 전체 과목 수는 다음과 같습니다:
학력 기준 | 이론 과목 수 | 실습 과목 수 |
---|---|---|
고졸 | 26과목 | 1과목 |
대졸 | 16과목 | 1과목 |
3. 사회복지사1급, 진짜 비용은 시간?
2급 취득 후 1급으로 가려면 국가시험을 봐야 하며, 시험은 1년에 단 한 번!
그렇기 때문에 단순한 수강료 외에도, 아래와 같은 보이지 않는 비용이 존재합니다:
- 📘 교재비
- 🎧 인강 수강료
- ⏳ 시간을 돈으로 환산한 투자
Q. 25년 시험에 떨어지고 26년에 다시 본다면?
A. 그 사이 1년이라는 시간을 또 투자해야 합니다.
최근 5년간의 1급 시험 통계를 보면, 응시자 수는 매년 비슷하고 합격률은 약 30% 전후로 수렴됩니다.
즉, 무턱대고 보면 낭비일 수도 있다는 거죠.
4. 사회복지사2급, 취득까지 얼마나 걸릴까?
대체 왜 다들 1~2년이라고 애매하게 얘기할까요?
아래 예시를 보시면 이해됩니다:
📊 대졸자 A, B 비교
구분 | A | B |
---|---|---|
시작월 | 2025년 6월 | 2025년 11월 |
종료월 | 2026년 10월 | 2026년 10월 |
자격증 발급월 | 2026년 11월 | 2026년 11월 |
즉, 똑같은 3학기를 이수하더라도
👉 A는 1년 6개월, B는 1년 안에 끝낼 수 있습니다.
누가 유리하고 불리한 게 아니에요.
중요한 건, 본인의 일정에 맞춰 맞춤형 로드맵을 짜줄 멘토를 만나는 것이죠.
5. 사회복지사1급 응시 자격은?
2급 자격증만 있으면 시험을 볼 수 있는 걸까? NO!
- 4년제 졸업자: 바로 응시 가능
- 2~3년제 졸업자: +1년 실무 경력 필요
즉, 2급 취득 이후에도 응시 자격 조건을 채우는 데 시간이 더 들어갑니다.
1급 시험은 매년 1회뿐이므로, 철저한 계획이 필요합니다.
💡 합격률 약 30%라는 점도 꼭 기억해두세요.
6. 학점은행제 로드맵은 이렇게
학점은행제로 준비할 땐 크게 두 가지 케이스로 나눌 수 있어요.
(1) 사회복지사2급이 아직 없다면?
- 고졸: 4학기 (약 2년)
- 전문대졸: 3학기 (약 1.5년)
이전에 이수한 학점이 있다면 학점 인정 절차를 통해 기간을 줄일 수 있습니다.
(2) 2급은 있다, 1급까지 가고 싶다면?
사회복지학 학사 학위 과정으로 진학하는 걸 추천합니다.
예를 들어, 3년제 졸업 후 2급 자격을 취득한 사람이라면
1학기 추가만으로 4년제 학위 취득이 가능합니다.
사실 이건 몰라서 안 하는 것이지,
알게 되면 ‘왜 이제 알았지?’ 싶을 거예요.
▶▶ 이어가면 도움될 연재글
▶▶ 10년차 멘토에게 카톡질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