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기사 아마 맞을 텐데, 국가기술자격 분야 중에 가장 쓰임새가 높고, 난도가 높은 축에 속합니다.
응시자 및 합격률 통계는 모두 한국산업인력공단에서 투명하게 공개하고 있는데요. 2023년 기준 51,630명이 응시했습니다. (전기기능사는 60,239명 응시 / 기능사 기사 차이는 알고 있죠?)
참고로 기사 시험은 필기 합격 날짜로부터 2년간 제한 없이 실기 시험을 볼 수 있는 유예 제도가 있다는 점을 고려하면 그 난이도는 더 높을 수밖에 없다는 점부터 미리 강조하고 싶어요.
2025년 시험 레이스는 이미 시작됐는데, 공부 시작하기 전 꼭 알아야 될 3가지를 정리했습니다. 의외로 모르거나 챙기지 않는 것들이랍니다.
목차
1. 2025 전기기사 시험 일정
국가기술자격증 (산업)기사는 24년도부터 CBT로 일괄 통합됐고, 일정 또한 4회로 나뉘는 게 아닌 3회로 고정됐습니다. 전기기사처럼 인기가 많은, 응시자수가 많은 시험은 당연히 3회 모두 시행됩니다.
위 자료는 24년도 시험 일정인데, 현재 학점은행제 전기공학(or 경영학) 과정으로 응시자격을 진행하는 학우들께 24년도 일정을 보고 목표를 잡으라고 말씀드립니다. 크게 다르지 않을 예정입니다.
올해 11월 8일. 실기시험 발표가 난 뒤에 2025년도 전기기사 시험 일정이 정확하게 발표되지 않을까 싶네요.
2. 전기기사 난이도는?
아무래도 응시자격 관련된 업무를 맡고 있다 보니 저에게 난이도 관련하여 질문을 많이 주십니다. 사실 난이도를 적절하게 표현한다는 게 정말 어려운 일입니다. 사람마다 갖고 있는 능력치도 다르고, 받아들이는 역치도 다르니 말이죠.
합격률 숫자가 가장 적합하며, 또한 다른 국가기술자격 분야와 비교하는 것이 합리적인 난이도 설명 방법 아닐까 싶습니다.
순서대로 전기기사, 산업안전기사 필기 실기 2020년부터 2023년까지 합격률 자료입니다.
보이는 숫자 그대로 봐주면 될 것 같습니다. 요즘 안전관리자 선임기준 이슈로 산업안전기사 응시자수가 워낙 늘어서 그렇지 원래 둘의 응시자수 차이가 크지 않았거든요.
전기기사 필기 합격률이 20%대로 수렴하는 거 보면 전기공학이 그렇게 어려운 건가 싶은 생각이 듭니다. 분야가 어렵다기보단 수급 조절을 위해 난도를 높게 출제하는 것 같습니다.
서두에서 밝혔듯 필기 합격 후 2년의 유예기간이 있으므로 일단 필기 공부부터 기출은행만 달달 푸는 게 아니라 이론부터 꼼꼼하게 학습해야 될 것 같습니다.
3. 전기기능사 취득 후 필요 경력은?
“선생님, 반도체 관련 기업에 PM으로 일하고 있는데요. 전기기능사를 취득했고, 빠르게 전기기사 시험을 보려고 하는 데 얼마나 걸릴까요?”
제조업에 근무하는 K 학우님이 응시자격 건으로 저에게 문의를 주셨습니다.
사람들이 의외로 모르는 것이 바로 응시자격 관련학과, 경력 기준인데요. 전기기사 같은 경우는 인정범위가 매우 매우 넓습니다. 그도 그럴 것이 전기는 ‘산업의 쌀’같은 존재잖아요?
반도체는 크게는 전자 쪽이므로 당연히 경력이 인정되며, 방송, 건설, 정보통신, 안전관리, 환경, 에너지 분야까지 두루두루 인정됩니다. 그래서 K 학우에게 이렇게 물었습니다.
“경력이 얼마나 되나요?”
4년이 넘었다더군요. 원래 전기기능사 취득 후 3년의 경력을 채우면 되는데, 4년을 넘겼으므로 이미 시험 응시자격이 되는 것입니다.
이와 관련해서 뭘 그리 고민하는지 모르겠습니다. 산업인력공단 큐넷에 응시자격 자가진단을 해보면 될 일인데 말이죠.
지금 당신에게 필요한 전기공학사 학력 개선
전기기사 시험 응시에 필요한 학력 요건을 도와드리고 있습니다. 보통 다른 학점은행제 교육기관에서는 ‘경영학’으로 하라 할 텐데요. 저희는 ‘전기공학’ 수업을 온라인으로 수강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4년제 전기공학사 졸업장도 취득할 수 있다는 사실!
▶▶ 이어가면 도움될 연재글
▶▶ 10년차 멘토에게 카톡질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