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기기사 비전공자인데, 경영학을 하라네요. 이게 맞아요?”
상식적으로 아니죠. 전기기사라 하면 최소한 공과계열 공부를 해야 되는 게 맞죠. 그러나, ‘전기’는 산업의 쌀과 같은 존재이며, 따라서 허용해 주는 산업 범위가 매우 넓습니다.
물론, 이건 저의 개인적 견해이고, 한국산업인력 공단 오피셜 자료를 보는 게 정확합니다. 자세히 알려드리면, 국가기술자격법에 나와 있죠.


생산관리, 방송, 건설, 기계, 재료, 전기/전자, 정보통신, 안전관리, 환경/에너지 정도로 카테고리를 나눌 수 있고
바로 그 말도 많은 ‘학점은행제 경영학’의 경우 생산관리 분야로 인정됩니다.
그러면 어떤 기준으로 인정하느냐? 그건 알 수 없어요. 그냥 여러분이 자가진단을 통해 판정받는 방법 말고는 없습니다.
경력, 학력 부문 인정 관련하여 열심히 연재하고 있지만, 사례를 하나하나 다 담을 수 없을 만큼 방대해요. 그래서 결론을 내린 것이,
응시자격 자가진단부터 하셔라!
이 글의 목차

전기기사 시험 보려는 비전공자 사연 (무역학)
“선생님 저는 경영 관련 과목을 대학 때 많이 배웠어요. 혹시 전기기사 시험 안 되나요?”
약간 소름 돋는 것이, 아무리 열심히 자가진단 전도를 하더라도 이렇게 물어보는 경우가 있어요. 그러지 않으셨으면 좋겠어요.
저도 정확히 알 수 없답니다 ㅠㅜ
4년제 졸업자인데, 응시불가 판정을 받았다면 전기공학 타전공 학사학위 과정을 하면 됩니다.
최근 학점은행제 온라인 학습 가능한 전공이 계속해서 확대되고 있어요. 기존에는 사회복지, 아동 등 사회복지 계열 국가자격증을 취득할 수 있는 과목을 위주로 개설해 왔죠.
전기공학은 군계일학 마냥 전기, 소방, 안전 관련 학력 개선에 관심 있는 이들에게 그 모습을 드러냈는데요.

요렇게 아름답게 전기공학과 학사학위 과정을 마칠 수 있습니다. 현재 소방학 과정도 온라인으로 수강할 수 있으며, 아쉽게도 산업 및 안전공학은 아직이네요.
표를 보면 소방안전관리자2급이 있는데, 이건 필수 아닌 필수에 가깝습니다. 왜냐하면, 전기공학 과목에는 실험(실기) 과목이 있는데 이게 필수예요. 대면 과정이기도 하지만, 등록금이 상당히 높습니다.
이걸 피하는 방법으로 소방안전관리자2급이 있는 것입니다. 국가자격도 취득하고, 수업료도 감면받고!

2,3년제 졸업자 학점은행제의 아이러니
‘학점인정대상학교(전적대학)’는 「고등교육법」, 「평생교육법」에 따른 전문대학 또는 대학 등으로 해당 대학(교)에서 중퇴 또는 졸업(전문대학)시 학점은행제 학점으로 인정 받을 수 있습니다.
(출처 : 국가평생교육진흥원)
위 내용이 많은 이들을 혼란스럽게 합니다. 물론 잘 읽어보면 혼동할 게 없어요.
학점은행제는 전적대에서 학점을 가져올 수 있는데, 조건이 있습니다.
1) 자퇴했거나
2) 졸업했다면, 전문대졸업자이거나
결론적으로 앞에서 무역학 4년제 전공자는 전적대를 가져올 수 없기 때문에 타전공 학사학위 과정을 한겁니다.
전기기사응시자격 | 2,3년제졸업자 | 4년제졸업자 |
전적대 사용 | 가능 | 불가능 |
진행 과정 | 106학점 | 48학점(전공으로만) |
이와 다르게 2,3년제 졸업자는 전적대를 가져올 수 있어요. 2년제는 80, 3년제는 120학점까지 활용 가능합니다. 그 말인즉슨 48학점보다 덜 들어도 되는 것이죠.
“아니, 전문대졸업자보다 4년제 졸업자가 더 불리하네?”
단순히 ‘학점의 양’만 채운다는 관점에서는 그렇습니다. 억울할 필요가 1도 없습니다. 4년제 졸업자 여러분은 ‘또 하나의 학사학위 졸업장’ 그것도 전기공학과 졸업장을 받을 수 있습니다.
2,3년제 졸업자는 전기공학과 졸업장을 받으려면 훨씬 더 많은 학점을 이수해야 됩니다.
전기기사 응시자격 해결 비법
전기기사 시험을 보려는 데, 응시자격 관련 헷갈리는 콘텐츠가 많았다면 오늘 내용이 방향을 잡는 데 도움 되지 않았을까… 하는 약간의 자신감을 가져봅니다. 경영학도 가능하지만, 기왕이면 본인의 커리어에 도움 되는 전공으로 커리큘럼을 짜는 게 어떨까 싶네요!
▶▶ 이어가면 도움될 연재글
▶▶ 10년차 멘토에게 카톡질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