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산업안전기사 필기 합격률, 빈출용어 정리 기계기구 및 설비안전 과목 편
목차
“산업안전기사 시험 볼까 말까 계속 미루고 있어요. 자격요건도 복잡하고, 기계 관련 용어는 너무 어려워 보이고…”
산업안전기사는 그 중에서도 시험 과목이 많고 용어도 생소한 편이라, 비전공자에게는 진입장벽이 높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 필기부터 막막한 건 당연하죠. 특히 ‘기계기구 및 설비 안전관리’ 같은 과목명은 낯설기까지 합니다.
막연한 불안감을 줄이려면, 시험 구조와 과목별 특징부터 차근히 살펴보는 게 출발점입니다.
1. 산업안전기사 필기 자격요건과 과목 구성
결론부터 말하면, 산업안전기사는 이공계 전공자뿐만 아니라 다양한 학과 출신도 응시할 수 있습니다.
응시 가능 전공 범위는 꽤 넓은 편입니다. 기계, 전기, 화학, 건설뿐 아니라 환경, 재료, 안전관리, 정보통신, 농림어업 관련 학과까지 포함됩니다.
물론 비전공자라면 실무 경력 2년 이상이 필요할 수 있으니, 본인의 학과 코드와 경력 유무를 먼저 확인하는 게 좋습니다.
필기시험은 총 6과목입니다. 각각 20문항이며, 과목당 시험 시간은 30분입니다.
- 산업재해 예방 및 안전보건교육
- 인간공학 및 위험성 평가·관리
- 기계·기구 및 설비 안전 관리
- 전기설비 안전 관리
- 화학설비 안전 관리
- 건설공사 안전 관리
객관식 4지선다형이며, 과목당 40점 이상, 전체 평균 60점 이상이면 합격입니다. 실기는 필답형과 작업형으로 구성되며, 총점 60점 이상이 합격 기준입니다.
이 구조를 보면, 단순 암기보다 개념의 흐름과 현장 맥락을 이해하는 방식의 공부가 효과적일 수 있습니다.
2. 필기 합격률과 어려운 과목은?
연도 | 응시자 수 | 합격자 수 | 합격률 |
---|---|---|---|
2024 | 86,032명 | 36,717명 | 42.70% |
2023 | 80,253명 | 41,014명 | 51.10% |
2022 | 54,500명 | 26,032명 | 47.80% |
다만 숫자보다 중요한 건 과목별 난이도 체감입니다. 실제 수험자들은 “전기설비”와 “화학설비”를 가장 어렵게 느낍니다. 공학적인 이해를 요구하는 문항이 적지 않기 때문이죠.
반대로 ‘안전관리론’과 ‘건설안전기술’은 비교적 쉽게 접근할 수 있는 과목으로 평가됩니다. 법률과 이론 중심이라 기출 위주 학습이 효과적이고, 실기와도 연결되는 영역입니다.
기계·인간공학 영역은 용어가 낯설긴 하지만, 논리 흐름을 잡고 반복 학습하면 극복 가능합니다.
다시 말해, 모든 과목을 동일한 방식으로 공부하기보단, 구조적 난이도에 맞게 전략을 세우는 것이 중요합니다.
3. 비전공자를 위한 용어 정리: 기계기구 및 설비 안전관리
기계기구 및 설비 안전관리 과목에서 자주 나오는 핵심 용어들을 정리해볼게요. 처음 보면 어렵지만, 하나씩 뜯어보면 이해할 만해요.
와이어로프부터 시작해보죠. 와이어로프는 소선을 여러 개 꼬아서 만든 스트랜드(가닥)를 다시 심강을 중심으로 감아서 만든 줄이에요. 6×30이라고 표기되면 앞의 6은 스트랜드 개수, 뒤의 30은 소선 개수를 뜻합니다. 크레인이나 리프트에서 사용하는 그 강한 줄 말이에요.
보일러 관련 용어도 중요해요. 압력방출장치는 보일러 압력이 위험 수준에 도달했을 때 자동으로 압력을 빼주는 안전장치입니다. 두 개 이상 설치할 때는 하나는 최고 사용압력 이하에서, 다른 하나는 최고 사용압력의 1.05배 이하에서 작동하도록 해야 해요.
프라이밍 현상과 포밍 현상도 구분해서 기억해두세요. 프라이밍은 과부하나 수위 급변으로 수분과 증기가 제대로 분리되지 않는 기계적 문제고, 포밍은 불순물 때문에 거품층이 생겨 수위가 불안정해지는 화학적 문제예요.
6대 위험점은 시험에 단골로 나오니까 확실히 외워두세요.
위험점 종류 | 발생 원인 | 주요 기계 |
---|---|---|
협착점 | 왕복운동부와 고정부 사이 | 프레스, 성형기 |
끼임점 | 고정부와 회전부 사이 | 숫돌과 하우징 |
물림점 | 회전하는 두 부분 접촉 | 기어, 롤 |
접선물림점 | 회전부의 접선 방향 | 벨트, 체인 |
회전말림점 | 회전축 주변 | 커플링, 회전봉 |
절단점 | 회전 운동부 자체 | 밀링커터, 원형톱 |
소음 관련 기준도 자주 출제돼요. 90데시벨에서는 8시간, 95데시벨에서는 4시간, 100데시벨에서는 2시간, 105데시벨에서는 1시간, 110데시벨에서는 30분, 115데시벨에서는 15분이 1일 최대 노출시간입니다. 5데시벨 올라갈 때마다 시간은 반으로 줄어든다고 기억하면 편해요.
페일세이프와 풀프루프도 헷갈리기 쉬운 개념이에요. 페일세이프는 기계가 고장 났을 때도 안전하게 정지되는 기능이고, 풀프루프는 사람이 실수해도 사고가 나지 않도록 하는 안전설계 원칙입니다.
Q: 고졸이면 산업안전기사 자격증은 못 따는 걸까요?
A: 안전관리 분야에서 인정받는 국가 기술자격이지만, 고졸자도 관련 분야 경력 2년 이상이 있다면 응시할 수 있습니다. 학력보다 중요한 건 실무 경력입니다.
산업안전기사 필기시험은 단순히 과목 수만으로 난이도를 판단하기 어렵습니다. 자격요건, 과목별 특징, 용어의 복잡도까지 고려해야 하죠.
다른 과목으로 찾아뵙겠습니다.
▶▶ “응시자격 몇 학점?” 26년 시험 목표로 편하고, 저렴하게, 기간은 짧게
▶▶ 11년차 멘토에게 카톡질문
▶▶ 함께 읽으면 좋은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