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기사 응시자격 48학점 기준 졸업예정자 제출해야될 서류

건축기사 응시자격 관련학과

이 글의 목차


4년제 대학을 졸업한 후, 꽤 시간이 흘렀다는 A씨. 어느 날, 지인 소개로 건축현장 사무직으로 일을 시작하게 되었고, 점차 현장의 실무와 제도에 눈을 뜨게 됐다고 합니다.

그러다 알게 된 자격증이 바로 건축기사

현장에서 인정받고 싶은 마음에 자격증 취득을 결심했지만, 문제는 응시자격. 전공은 경영학, 건축과는 거리가 멀었죠. 게다가 “106학점이 아니라 48학점이면 된대요!”라는 말에 반신반의하며 학점은행제를 알아보기 시작합니다.

그러다 문득 들었던 궁금증

Q: 그럼 내가 다시 졸업할 것도 아닌데, 응시자격 서류는 뭐로 내지?
Q: 이거 하다가 애매하게 서류 하나 못 맞춰서 시험 못 보면 어쩌지?

건축기사 시험을 목표로 학점은행제를 활용해 응시자격을 갖추는 분들, 특히 비전공 대졸자분들을 위한 내용입니다. 불필요한 시행착오를 줄일 수 있도록 하나씩 짚어보겠습니다.


1. 4년제 비전공자, 학점은행제로 건축기사 응시자격 만들려면?

Q: 학점은행제 48학점 이수하면 된다고 들었는데요. 그럼 서류는 뭐 내나요?

건축기사 시험은 기사 등급이기 때문에, 시험을 보기 위해선 관련 자격 요건을 충족해야 합니다. 4년제 비전공 대졸자라면 타전공 학위 과정을 통해 관련 전공 학력을 새롭게 만들어야 해요.

그럼 어떤 서류를 준비해야 할까요?
학점은행제를 통해 건축기사 응시자격을 갖춘 졸업예정자가 제출해야 하는 기본 서류는 다음과 같습니다.

구분제출 서류
기존 학력최종 대학 ‘졸업증명서’ 또는 ‘학위증명서’
학점은행제 과정국가평생교육진흥원에서 발급받은 ‘학위수여예정증명서’, ‘학점인정증명서’
학점인정 마감 주의학점인정 신청이 완료된 이후 필기시험 일정이 있는 회차부터 응시 가능 (신청만으로는 부족함)

Q: 졸업예정자도 되나요?
A: 학위수여예정자도 시험 응시 가능합니다. 단, 학점인정이 완료된 상태여야 해요. 학점은행제에서는 정기적으로 학점인정 신청기간이 있고, 해당 절차를 거쳐 국가평생교육진흥원으로부터 확인된 문서를 갖춰야 해요.

따라서, 단순히 “48학점만 이수하면 끝”이 아니라,

  • 이수한 학점을 등록
  • 학점인정 신청
  • 그 결과로 인정된 학점을 ‘증명서’ 형태로 받기

이렇게 해야 실제 응시자격을 갖췄다고 볼 수 있어요.


2. 관련학과 아니어도 가능한가?

건축기사는 반드시 관련학과 전공자여야만 볼 수 있는 자격증이 아닙니다.
한국산업인력공단에서는 ‘관련학과’를 꽤 넓게 정의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건축뿐 아니라 기계, 재료, 환경, 안전관리, 전기전자 등도 포함돼요.

그렇다면, 학점은행제에서는 어떤 전공으로 진행해야 할까요?

사실상 온라인 수업만으로 전 과정을 이수할 수 있는 ‘건축공학’ 전공은 현재 없습니다. 그래서 건축기사 응시자격을 위해 가장 많이 활용되는 전공이 바로 경영학입니다.

Q: 아니, 경영학이 어떻게 건축 관련이에요?
A: 공단 기준에 따르면 ‘생산관리 직무분야’도 건축기사 관련 전공에 포함됩니다.

이런 이유로, 4년제 대졸 비전공자라면 경영학 타전공 과정을 통해 48학점만 이수하면 자격요건을 충족할 수 있습니다.

물론, “내 전공이 혹시 관련이 될 수도 있지 않나?”라는 생각이 든다면 큐넷 사이트의 ‘응시자격 자가진단’ 기능을 활용해보는게 정답!


3. 지금 시작하면 26년 2회차 시험을

4년제 비전공 대졸자가 경영학 타전공 학위를 목표로 48학점 이수를 진행할 경우, 보통 다음과 같은 커리큘럼을 따릅니다.

  • 첫 학기: 온라인 강의 24학점(8과목)
  • 두 번째 학기: 온라인 강의 24학점(8과목)

온라인 강의 기준으로 하면, 약 8개월이면 모든 과정을 마무리할 수 있습니다.
학점인정 절차를 감안하면 26년도 2회차 건축기사 시험부터는 충분히 응시자격이 확보됩니다.

Q: 1년에 42학점 제한 있다던데!

A: 맞습니다. 그런데, 이건 연간 제한이구요. 2학기 시작하는 경우엔 위와 같이 24, 24로 짤 수 있습니다.

사실 학점은행제는 학습설계만 잘 하면 시간 단축도 가능해요.
자격증을 병행하거나, 독학사 시험 활용 등을 통해 1학기 만에 마무리한 사례도 있습니다. 다만, 처음 시작하시는 분들은 무리하지 않고 2학기 과정으로 계획을 세우시는 걸 권장드려요.


시작은 어떻게? ☑️ 11년 경력의 멘토에게

지금 시작하면

  • 8개월 안에 경영학 전공으로 48학점 이수
  • 국가평생교육진흥원에 학점인정 신청
  • 26년도 2회차 시험 응시 가능

딱 이 루트예요.
무리한 건 없습니다. 방법을 알고 순서대로 차근차근 해 나가면 됩니다.

▶▶ “응시자격 몇 학점?” 26년 시험 목표로 편하고, 저렴하게, 기간은 짧게

▶▶ 11년차 멘토에게 카톡질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