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대기업 보건관리자 다른 선임기준이 필요할까?

대기업 보건관리자

대기업 보건관리자 뭔가 다른걸 원하나요?

​상식적으로 그렇지 않을까요? 지난 시간 병원 3교대를 탈출한 뒤 물류계열사 ​보건관리자로 정착한 선배 인터뷰를 전해 드렸더니, 여러분의 관심이 폭발했죠.

​요즘 채용 공고를 보면 ‘건강·안전 담당’ 같은 이름으로 숨어 있다가 끝부분에 슬쩍 보건관리자 선임기준을 써 놓는 경우가 많아서 더 헷갈릴 수밖에 없죠.

​특히 “상시근로자 50인 이상?” “위탁? 직접?” 이런 법령 용어, 보고 있자면 머리가 띵

​오늘은 대기업 보건관리자와 중소·중견기업의 차이, 그리고 자격증 선택까지 싹 정리해 드릴게요.



1) 대기업 보건관리자 vs 중소·중견기업

“연봉이 달콤하니까 대기업이 좋긴 좋은데, 선임 기준도 빡세지는 거 아니에요?”

​일단 선임 기준 자체는 업종·규모별 최소 인원만 다를 뿐, ‘대기업용 슈퍼 면허’ 같은 건 없습니다.

​산업안전보건법은 기본적으로 상시근로자 50인 이상이면 1명 이상 보건관리자를 둬야 한다고 못 박았고, 인원이 늘면 숫자만 늘어날 뿐이죠. 상시 1 천 명을 넘어가면 두 명, 3 천 명 넘으면 세 명(그중 1명은 의사·간호사급) 식으로 계단식으로 늘어납니다.

​하지만 현실 채용 공고를 파헤쳐 보면? 대기업은 “영어 PT 가능자” “SAP 사용 경험자” 같은 업무 확장 스펙을 은근 요구해요. 물류센터에서 근무 중인 K 간호사 선배도 ‘보고서용 엑셀·PPT부터 현장 순회 드론 촬영 자료까지 요구하더라’며 웃었죠.​

대신 OT 0시간, 유연근무 8-5제라는 꿀복지는 덤이었다고!

​한편, 건설·중견 제조사는 계약직 비율이 높고 근속 2-3년 뒤 이직이 잦다는 것도 체크 포인트랍니다.


2) 법령으로 보는 보건관리자 선임기준

50인 미만 사업장인데도 ‘보건관리자’ 뽑아요?

보건관리자가 될 수 있는 길도 법으로 딱 정해져 있습니다. 의사·간호사·산업보건지도사·산업위생관리(산업)기사·대기환경(산업)기사·인간공학기사, 그리고 관련 학과 졸업자까지


3) 대기환경기사 vs 산업위생관리기사, 뭐가 더 좋아요?

구분산업위생관리(산업)기사대기환경(산업)기사
시험 주제산업위생학·작업환경측정 등대기오염제어·대기오염공정시험 등
범용성제조·서비스 전 업종화학·에너지·환경기업 특화
시험 횟수연 3회 동일
현장 선호“안전·보건 통합관리” 빛을 발함“친환경·ESG 부서”에서 인기

“둘 다 따면 안 돼요?”

​물론 가능하죠. 하지만 시간·돈은 금 같으니, 기업군에 따라 맞춤 선택이 훨씬 효율적이에요.

​물류·IT·서비스처럼 접촉·비접촉 유해 인자가 뒤섞인 곳은 산업위생이 유리, 반대로 환경오염물질 배출 관리가 메인이면 대기환경이 강세. 현직 선배들은 ‘기사(정기사)가 산업기사보다 확실히 유리’라며 입을 모으니, 가능하면 기사 레벨로 준비하세요.

​마지막 회차 실기 일정은 매년 살짝 바뀌니 Q-net 공지 확인 필수!


응시자격부터 꼼꼼하게

선임기준은 기업 규모에 따라 숫자만 변동, 대기업이라고 특별 면허를 요구하진 않지만 실무 스펙은 높아지는 경향이 있습니다.

​그 중 산업위생관리기사, 대기환경기사 두 종목이 취업 효율 갑.

​이제 채용 공고에서 ‘보건관리자 선임기준’ 문구를 발견하셨다면, 숫자와 자격 루트부터 체크해 보세요. 곧 다가올 2025 채용 시즌, 여러분이 딱 맞는 스펙으로 당당히 서류를 통과하길 응원합니다!


▶▶ 이어가면 도움될 연재글

▶▶ 10년차 멘토에게 카톡질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