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기사 자격증은 건축, 건설 분야에서는 이제 필수라 표현해도 될 정도로 중요해 졌습니다.
”Scientia potentia est”
개인적으로 라틴어 격언을 좋아하는데요. 우리 일상에서 흔히 활용하는 격언들이 라틴어원에서 오는 경우가 많습니다. 바로 “아는 것이 힘이다!” 인데요.
건축 분야 국가기술자격으로서 가치와 활용, 경력 관리의 중요성에 대해 다루고, 필기 및 실기 시험의 난이도, 마지막으로 건축기사 응시자격 순서대로 알아보겠습니다.
![건축기사 학점은행제](https://bebeanko.co.kr/wp-content/uploads/2024/07/건축기사-학점은행제-1024x683.png)
1. 건축기사 자격증 가치, 활용분야, 경력관리
축기사 자격증은 단순히 자격증 하나를 더 갖는 것이 아니라, 여러분의 커리어를 탄탄히 증명해줄 강력한 도구라 생각합니다.
우선 국가기술자격법에 의해 채용이나 승진 시 우대를 받을 수 있는데요. 특히, 건축시공 분야 취업에 큰 도움이 됩니다.
건설, 건축 분야 취업이라하면 일반적으로 종합건설회사, 건설엔지니어링업체, 전문건설업체, 감리전문업체, 건축사 사무소 등을 들 수 있는데요. 경력을 쌓아서 중앙정부와 지방자치단체의 건축직 공무원 또는 공공기관 직무에 도전할 수 있는 기회도 열립니다. 기술직은 경력을 쌓으면서 자신이 나아갈 방향을 찾을 수 있습니다.
“千里之行,始于足下”.
천 리 길도 한 걸음부터 시작됩니다. 건설업에 종사할 이들에게 딱 어울리는 사자성어인데요. 건설사에서의 경력은 병원, 마트, 제조업 등 다양한 분야에서 매우 유용하게 쓰일 수 있다는 점을 알아야 겠습니다.
2. 건축기사 필기 실기 난이도(합격률)
익히 알려져 있듯 건축기사 시험은 필기와 실기로 나뉩니다. 필기시험은 객관식 4지 선다형으로 구성되며, 건축계획, 건축시공, 건축구조, 건축설비, 건축관계법규의 5과목을 다룹니다. 평균 60점 이상을 받아야 합격이지만, 각 과목에서 40점 이하가 나오면 과락으로 불합격 처리됩니다. 실기시험은 건축시공 실무 과목으로, 필답형으로 시행됩니다.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bYZDCI%2FbtsIKaTi4Tm%2FE5gfUnHmciVtuRQ9KHtjlK%2Fimg.png)
필기시험은 기출문제를 반복해서 풀어보는 것이 합격의 지름길입니다. 최근 5년간의 기출문제를 풀면서 출제 경향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건축계획은 암기할 내용이 많으므로, 체계적인 정리가 필요합니다. 건축시공은 실무에서 사용되는 내용이 많아, 실질적인 이해가 중요합니다. 건축구조는 계산 문제가 많아, 공식을 외우고 문제를 많이 풀어보는 것이 필요합니다.
년도 | 필기 응시자수 | 필기 합격률 | 실기 응시자수 | 실기 합격률 |
2023년도 | 21,986 | 37.6% | 14,516 | 31.4% |
2022년도 | 20,262 | 36.6% | 13,208 | 31% |
2021년도 | 21,186 | 33.8% | 12,973 | 42% |
실기시험은 서술형이기 때문에, 문제를 풀어보는 연습이 중요합니다. 기출문제를 기반으로 공부하고, 틀린 부분을 반복해서 정리해야 합니다. 실기시험에서는 실제 현장에서 적용되는 내용을 다루므로, 실무 경험이 큰 도움이 됩니다.
3. 건축기사 자격요건, 비전공자는 학점은행제부터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sm99A%2FbtsIJuZiVf6%2FKIAOXOj6AhTppGYkE2CC91%2Fimg.png)
건축기사 응시자격은 학력과 경력에 따라 다릅니다. 산업기사 자격증이 있는 경우, 1년의 경력만으로도 응시자격이 주어집니다. 2년제 또는 3년제 건축 관련 대학을 졸업한 경우, 1~2년의 경력이 필요합니다. 관련 학과 졸업 예정자도 응시할 수 있습니다.
이런 내용은 인터넷에 매우 널리 알려져 있는데요. 외울필요 전혀 없습니다. 자세한 기준은 한국산업인력공단 큐넷에서 관리하며, 홈페이지에서 응시자격 자가진단을 할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경력이 모자라거나 비전공자는 학점은행제를 통해 응시자격을 갖출 수 있습니다. 학점은행제는 다양한 학점을 인정받아 학위를 취득할 수 있는 제도로, 건축기사를 준비하는 비전공자에게 매우 유용한데요. 학점은행제를 통해 필요한 학점을 채우는 과정은 온라인이다보니 건축기사 필기 실기 공부를 충분히 병행할 수 있습니다.
다시 강조하면 건축기사는 건축, 건설 분야에서 경력을 쌓으려 한다면 매우 중요한 아니 필수적인 국가기술자격입니다. 필기와 실기시험의 난이도가 높다보니, 체계적으로 준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마지막으로, 학점은행제 원격 평생교육원에서 건축기사 응시자격 해결을 위한 체계적인 이수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행복은 노력에 비례한다”는 말처럼, 여러분의 노력에 보답할 수 있는 교육원이 되겠습니다.
▶▶ 이어가면 도움될 연재글
▶▶ 10년차 멘토에게 카톡질문